티스토리 뷰

728x90
반응형

 

들어가며

이 글을 보고 계신 분은 블로그로 돈을 벌려고 정보를 알아보시는 분들이라고 생각합니다.

그런데 애드센스에 대해 공부하다 보면 여러 가지 생소한 용어들이 나옵니다.

CPM, CPC, CPS, CPA 등 CP로 시작하는 용어들인데요. 이 글에서 기본적인 제휴 마케팅 용어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
 

기본 개념

앞에 있는 CP는 Cost Per ~~~의 약자입니다.

~~~당 가격 또는 비용이라는 뜻이죠.

예를 들어 CPC는 Cost per Click의 약자로 "클릭당 비용" 또는 "클릭당 가격"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.

그럼 본격적으로 용어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
 

용어 정리

알파벳 순서로 정리하겠습니다.

- CPA

Cost per Action

 

행위당 가격을 의미합니다. 이 행위라는 것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. 보험 같은 경우 이름과 전화번호를 수집하는 것일 수도 있고, 어플을 설치하거나, 사이트에 가입, SNS 구독, 물건을 사는 것 등이 모두 큰 범주의 CPA 광고에 들어갑니다.

이 중에 설치는 따로 CPI라고도 부르고 물건 구입 같은 경우 CPS라고 따로 명칭이 있긴 하지만 큰 범주에서는 어떤 행위를 했을 때 돈이 들어오는 것이기 때문에 CPA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.

저런 행위들은 광고를 접하는 사람들에게 상당히 거부감이 드는 행동이기 때문에 저런 행동을 하게 만들경우 큰 수익을 안겨주게 됩니다. 따라서 단가는 높은 편입니다.

대표 플랫폼: 리더스 CPA, 쿠팡 파트너스, 회사와 직접 제휴, 버즈, 캐시슬라이드,  등

 

- CPC

Cost per Click

 

1번 클릭당 가격을 의미합니다. 티스토리나 다른 사이트를 볼 때 떠있는 광고들이 주로 해당됩니다. 단순 시청 광고 수익도 있지만 클릭을 했을 때 주된 수익이 발생합니다. 

단가는 대략 1 클릭당 2천 원~300원까지 굉장히 다양하며 어떤 키워드를 노리느냐에 따라 단가가 달라집니다. 결국 광고비는 광고주가 주는 것이기 때문에 경쟁이 치열한 키워드를 노리면 광고 수익은 높아지고 경쟁이 적은 키워드를 노린다면 수익은 낮아집니다.

대표 플랫폼: 애드센스(구글), 애드포스트(네이버)

 

- CPM

Cost Per Mille

 

1000번 노출당 가격을 의미하며 단순 노출로도 수익을 얻을 수 있는 만큼 수익이 들어오기는 쉽습니다. 다만 단순 노출일 뿐 "행위"나 "사이트 방문" 등 광고주 입장에서는 수익과 동떨어져있기 때문에 단가는 매우 낮습니다.

애드센스가 CPC와 CPM 광고 모두 해당되지만 위에서도 말한 것처럼 대부분의 수익은 CPC 수익 즉 클릭당 값으로 매겨지게 됩니다.

단가는 매우 낮기 때문에 큰 기대를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만, 대형 커뮤니티 사이트와 같이 트래픽이 어느 정도 보장된다면 의미 있는 수익을 얻을 수도 있습니다.

대표 플랫폼: 애드핏(다음)

 

CPA 광고의 하위 부류

 

CPI 광고 

- Cost Per Installation의 약자입니다. CPA의 하위분류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. 모바일 게임을 하면서 게임 광고가 나오고 설치를 유도하는 대부분의 광고가 CPI 광고라고 할 수 있습니다. 주로 모바일 게임 설치 시 무료 쥬얼 지급 광고나 캐시슬라이드, 버즈 스크린 등의 앱 설치 광고가 해당됩니다.

CPS 광고 

- Cost Per Sale의 약자입니다. 대표적인 광고로 쿠팡 파트너스가 있으며, 게임이나 멤버십 어플 중 구입 시 포인트 지급을 해주는 광고들이 이러한 CPS광고에 속합니다. 행위 자체가 매출과 관련이 있으므로 광고 단가가 매우 큰 편이고 이 부류의 광고만 하시는 분들도 있습니다.

단 구매를 해야하기 때문에 사이트 유입자들의 거부감도 커서 매출이 잘 일어나지 않으며 판매를 하나도 못할 경우 광고비를 하나도 받을 수 없는 상황도 일어납니다. 모든 제휴 마케팅이 그렇지만 CPS광고는 마케터의 능력이 아주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.

글을 마치며

 

지금까지 제휴 마케팅과 관련된 용어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 용어를 많이 알고 있으면 추후에 공부할 때 지식 습득이 빠르다고 합니다. 제휴 마케팅뿐만 아니라 지식이 다는 아니지만 제휴 마케팅의 종류가 어떻고 어떤 수익 구조를 가지고 있는지 알고 있으면 나의 성향과 능력에 맞는 광고를 집행하여 작지만 꾸준한 수익을 얻어갈 수 있을 것입니다.

반응형